디제잉을 할 때 꼭 있어야 할 필수템 중 하나가 바로 USB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디제잉 매체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처음에는 바이닐로 시작해 카세트 테이프와 CD같은 광 매체를 거쳐 바야흐로 MP3시대가 오고 현재 디제잉의 주 음원매체는 MP3와 WAV같은 음원파일과 그것을 담는 USB가 된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수 많은 디제이들이 디제잉을 할 때 USB를 지참하거나 맥북등을 들고다니며 직접 장비와 연결해 그 속에 담긴 음원 파일들을 재생하여 디제잉을 플레이해간다.
이전의 2000년대를 생각해보면 많은 디제이들이 CD에 직접 음원들을 담아서 플레이 했었기 때문에 항상 CD파우치를 들고다녔었고, 그 이전을 생각하면 바이닐 플레이를 위해서 거대한 바이닐 가방(또는 마치 여행용 캐리어 같은 바이닐 키트)를 가지고 다녔었다.
이제는 정말 몇년전의 영상이지만 페기 구가 나왔던 유튜브 영상을 보면 CD파우치를 직접 들고다니며 디제잉을 하는 모습도 잠깐 볼 수 있는데 CD윗면에 담아둔 음원의 제목들이 적혀있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이랬던 디제잉용 음원 매체들이 시간이 흘러 작은 가방안에 쏙 들어갈 정도의 USB로 현재 대체된 것을 생각하면 디제잉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플레이하는 매체의 편의성과 안정성 두가지를 다 잡았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대체된 것이 아닌가 싶다.
USB는 시중에 워낙 많은 제품들이 있고 디제이 개인마다 운용하는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디제잉용 USB를 몇개를 사는지 어떤식으로 관리하는지 전부 주관적인 부분이 크다. 나의 경우에는 256GB이상의 USB 하나에 내가 관리하는 모든 곡을 담아서 컴팩트하게 들고다니는 편이다. 다른 디제이는 작은 용량의 USB여러개에 장르별로 구분을 하거나 저렴한 USB를 소모품처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디제잉 USB는 각각의 음원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하는데, 파이오니어 DJ의 장비 기준으로 지원하는 음원 파일은 현재 ALAC,AAC,AIFF,FLAC,MP3,WAV를 지원하고 있다. 각 장비의 모델마다 지원하는 확장자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장비에서 플레이 하기 전에 확인하는 방법도 좋다. (각 장비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지원하는 확장자가 써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MP3와 WAV를 많이 사용한다)
디제잉용 USB를 고르는 기준
그렇다면 디제잉 초보를 기준으로 어떤 USB를 구매하는 것이 좋을까? 처음 시작단계에서는 제일 저렴한 USB를 추천한다.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모델은 Sandisk의 USB모델을 추천하는데 그 중에서도 8GB정도의 용량이면 충분할 것이다. 첫 시작때는 음원이 충분히 디깅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8GB 용량만 사용해도 저장용량이 넉넉할 것이다. 그 다음 디깅한 음원이 많아지고 메모리큐나 핫큐등의 관리포인트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더 비싸고 성능이 좋은 USB를 고르면 된다.
디제잉 USB는 SanDisk를 써야한다?
정말 대부분의 디제이는 Sandisk의 USB를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유독 디제이장비와 연결했을 때 뻑이 안나는 안정성과 빠른 속도 때문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한번 이야기 했었던 불법음원을 사용했을 때 장비가 뻑이나는 문제와 비슷한데, 불법 음원이 아닌 일반 음원을 사용해도 USB의 상태에 따라서 오류가 뜨며 음원이 플레이가 안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가 정말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그럴 때에는 USB를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사망상태에 이르기 때문에, AS를 받거나 버리고 새로 사야하는 상황이 온다. 이 때문에 USB를 소모품처럼 사용하거나, 데이터 안정성을 강조한 USB를 쓰는것이다. 그중에서도 Sandisk의 USB가 극강의 데이터 안정성을 보여준다.
이와 반대로 파이오니어DJ에서 나온 디제잉용 USB라던가 타 사의 USB를 실제로 사용해봤는데 같은 USB3.0 포맷의 USB라고 하더라도 장비에서 곡을 로드할 때 발생하는 오류라던가 로딩속도에서 정말 큰 차이를 보였다.
나는 실제로 킹스턴사의 USB도 사용해봤는데 로딩속도가 처참했다. 의외로 삼성의 USB가 빠른 로딩속도를 보여 디제잉을 처음 시작할 때 삼성의 USB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역시나 Sandisk가 디제잉용으로 쓰기에는 여러모로 안성맞춤인것은 부정할 수가 없다.
최근에는 관리하는 음원파일의 양이나 용량이 클 경우 이런 외장형 SSD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디제이도 많이 보인다. 이런 SSD를 직접 장비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용랑의 압박에서 좀더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으나 역시 사이즈는 USB보다는 살짝 커질 수 밖에 없다.
그 중에서도 Sandisk Extreme PRO를 추천하는 이유
디제잉 USB의 최강자를 논하자면 단연 Sandisk Extreme PRO를 추천하는데, 이 모델을 추천하는 이유는 USB의 포지션이 전문가를 타겟으로 한 USB기 때문에 강력한 안정성과 내구력을 자랑하며, 앞서 계속 이야기 했던 장비에서 발생하는 오류율이 극도로 낮기 때문이다.
경험에 빗대어 이야기하자면 이전에 사용했던 삼성, 킹스턴, Sandisk Extreme go 모델을 사용했는데 대부분 2년을 넘기지 못하고 모두 장비 에러와 함께 장렬히 전사했다. 그 이후에는 제일 플래그쉽 모델인 andisk Extreme Pro를 현재까지 사용중이며 구매한지 3년이 지난 지금 아직까지 장비에서 오류가 나거나 인식이 안되는 문제가 없어 예비 USB 없이 하나만 잘 쓰고 있다. 단점은 역시나 비싼 가격인데, 128GB기준 약 45000원-50000원 사이의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sandisk 공식 홈페이지 – SanDisk Extreme PRO |
유독 Extreme Pro가 안전성과 속도에 있어 디제이 장비와 좋은 궁합을 보여주는 이유는 Pro 모델의 데이터 저장방식이 하위모델과는 다른 저장 방식인 이유도 한 몫 한다. 사실상 Extreme Pro는 소형 SSD라고 봐도 될 정도.
USB의 포맷 – FAT32
디제잉을 할때 USB에서 곡이 인식이 안되거나 파형이 제대로 뜨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는 높은 확률로 USB 포맷이 잘못 되어있을 수 있는데, 디제이 장비에서는 일반적으로 현재 컴퓨터를 사용할 때 제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TFS방식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FAT32로 포맷된 USB만 정상적으로 인식된다.(…) 만약 USB를 처음 구매하고 장비에서 제대로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USB를 FAT32로 다시 포맷한 후 음원을 넣어서 사용해보도록 하자.
[디제잉 배우기#002] 디제잉독학 으로 시작하는 디제잉배우기 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