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일반적인 디깅 사이트에서는 구할 수 없는 장르의 음악들도 있다. 가령 케이팝이나 어떠한 장르로도 구분지을 수 없는 일렉트로니카 계열의 음악들이다. 두 음악들은 서로 음악의 극단에 있는 느낌이다. 케이팝은 가장 대중적인 픽인 반면 일렉트로니카는 가장 매니악한 부분의 음악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렉트로니카를 포함한 매니악한 장르의 음악은 오늘은 유니크한 음악들로 묶어 지칭한다.
마지막 디깅 사이트 추천은 케이팝과 유니크한 음악들은 어디서 디깅하고 구매해야하는지 알아보자. 이 마지막 디깅사이트를 통해 다양한 음악, 나의 음악적 취향에 따라 음원을 구매하고 디깅할 수 있을 것이다.
케이팝, 유니크한 음악 디깅 사이트 추천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이버 바이브 사이트가 열립니다.
네이버 바이브 : 네이버 쇼핑하고 남은 포인트가 있으신가요? 그럼 바로 구매!
케이팝에 과연 디깅이 필요할까? 케이팝은 너무 흔하다. 그리고 너무 광범위하기에 필요한 세부 장르에 따라 디깅을 해야할 수도 있다.
케이팝과 가요 카테고리에 드는 음악들이야 말로 디제잉의 끝판왕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누구보다 많이 들은 음악이지만 이 음악들을 가지고 자유롭게 가지고 노는건 쉽지 않다. 케이팝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디제이야말로 최고의 매력을 가진 디제이가 아닌가 싶다.
이런 케이팝을 디깅하고 구매하기에는 어떤 사이트가 유용할까? 라고 물어본다면 단순한 케이팝 디깅에서는 유튜브 뮤직 또는 스포티파이등의 각종 음원 차트 내지는 음원 사이트가 유용하겠지만 음원 구매를 생각해 보았을 때 위의 사이트는 구매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오늘 이야기 중인 케이팝 디깅 사이트에서는 케이팝 디깅 뿐만 아니라 음원 구매도 동시에 가능한 사이트를 소개하는데 그 중에서 추천해주고 싶은 사이트 중 하나가 바로 네이버 바이브라는 음원 사이트다.
그렇다면 케이팝 디깅 사이트 중에서도 제일 유명한 음원 사이트인 멜론도 있고 벅스도 있는데 왜 굳이 네이버 바이브를 들고 왔냐고 물어본다면 바로 평소에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 쇼핑, 그리고 구매를 하고 나서 받은 네이버 포인트로 음원을 구매할 수 있다는 특장점 때문이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음원 사이트가 있다면 해당 채널을 통해 케이팝 디깅과 다운로드를 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평소에 네이버 쇼핑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별도의 결제 없이 그동안 모아둔 네이버 페이 포인트를 활용하여 필요한 음원들을 곡당 770원이라는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고, 네이버 바이브에서는 케이팝은 물론 정식 발매한 여러 음원들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혹 다른 사이트에서는 찾아볼 수도 없던 음원을 네이버 바이브에서 예기치 못하게 발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음원들을 결제 없이 포인트로만 구매할 수 있다는건 큰 장점! 더불어 음원 가격이 770원이라는 것을 볼때 국내 음원시장의 가격이 얼마나 저렴한지 웃프기도 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지니 뮤직 사이트가 열립니다.
지니 뮤직 : 구독, 정액제 없이 단순 음원만 구매하고 싶다면 여기로
나는 멜론, 벅스도 없고 그냥 필요한 음원만 다운받아서 쓰고싶어요! 라는 사람들이 있다면 지니 뮤직이 케이팝 디깅 사이트로 아주 제격이다.
지니에서는 mp3 다운로드 요금제를 판매하고 있는데, 회원가입 후 이용할 수 있으며 5곡에 3000원, 10곡에 5500원 두 가지 요금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곡 다운로드를 기준으로 한곡 당 550원이라는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니 특히나 힙합이나 케이팝을 저렴한 가격으로 많이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지니뮤직을 많이 사용한다. 사용권의 기한이 지나면 곡 다운로드 수가 남아 있어도 사용할 수 없으며, 지니뮤직을 포함한 모든 음원사이트가 그렇듯 몇몇 곡들은 다운로드에 제한이 있는 곡들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케이팝 디깅을 하는데 있어 음원의 음질은 너무나도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음원이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지니뮤직에서 케이팝 디깅을 하고 음원을 다운로드 해보면 다운로드한 음원의 음질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게 들리는 곡들이 있다. 실제 spec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분석해보면 음원 자체가 고음질의 비트레이트로 인코딩이 되어있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한 헤르츠를 가지고 있는 곡들이 있다. 특히 2010년대 케이팝 음원들 중 그런곡들이 있다.
이런 낭패를 겪은 경험이 있다 보니 문제가 있는 케이팝 음원들은 네이버에서 다시 구매했었고 최신 곡들은 대부분 문제가 없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bandcamp 사이트가 열립니다.
bandcamp : 인디작곡가를 위한, 새로운 음악을 찾는 이들을 위한 디깅 사이트
이제는 수많은 디깅 사이트를 모두 섭렵했다. 나는 남들과는 다른 음악, 다른 사람들이 구할 수 없는 음악을 사고 싶다면 디깅 사이트로는 밴드캠프를 뺴놓고 이야기 할 수 없다.
밴드캠프는 디깅 사이트라기 보다는 인디 작곡가를 위한 음원 판매사이트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밴드캠프는 레이블 단위가 아닌 작곡가가 직접 밴드캠프를 통해 자신의 곡을 판매한다. 맘에드는 곡이 있다면 직접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고(또는 판매자가 책정한 가격을 지불하고)음원을 구매할 수 있다.
밴드캠프에 올라오는 곡은 레이블단위로 계약하여 음악플랫폼에 올라오는 곡이 아니기 때문에 내가 찾아서 듣지 않는 이상 타 플랫폼에서는 들어볼 수 없는 곡들이 대부분이며 밴드캠프에서 들어볼 수 있는 곡들은 장르도 각양각색 이름도 붙이기 나름 취향 확고한 곡들이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다.
이런 특징들 때문에 디제이 중에서 다른 음악적 취향을 가지고 있는 언더그라운드 디제이들이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곡들을 찾기 위해 여러 디깅 사이트들을 찾아 해메는 과정에서 밴드캠프를 접하고 자기 취향의 곡을 만든 작곡가 채널을 깊게 파고들며 곡을 구매한다.
이러한 선순환이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지속적인 생명력을 부여하는 원동력이 되며 이것이 밴드캠프라는 디깅 사이트의 매력이자 아이덴티티를 유지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밑거름이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Internet Archive 사이트가 열립니다.
Internet Archive : 과거의 음원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함께 할 디깅 사이트
마지막으로 함께할 디깅 사이트 추천은 바로 Internet Archive라는 사이트다. Internet Archive는 사실 디깅 사이트가 아니라 텍스트, 비디오, 음원, 이미지등 세상에 흩어져 있는 모든 인터넷 데이터등을 아카이빙해둔 사이트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 곳을 디깅 사이트로 활용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것은 내가 예상하지 못한 때에 사라질 때가 있다. 멋진 음원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구하려고 해도 너무 오래되거나 더 이상 다운로드 할 수 없는 디지털 음원들이 간혹 있다. 혹은 아날로그한 채널로만 들을 수 있는 옜날 음원들도 있다.
이런 옛날 음악들은 Internet Archive에서 검색하면 나올 때도 있다. 디제잉을 위한 음원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흩어진 다양한 장르 라디오등을 오디오 아카이빙 파일로 만나볼 수 있다.
만약 내가 펑크, 소울, 디스코등 예전 70~80년대 음원을 구하고 싶다면 Internet Archive을 디깅 사이트로 활용해 각종 키워드로 검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실제로 필자도 더이상 인터넷에서 구할 수 없이 여기저기 뿔뿔이 흩어진 음원들을 Internet Archive에서 모음파일로 다시 구할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 있다.
Internet Archive는 잃어버린 과거의 곡들을 다시 만나게 해줄 수 있는 창구인 셈이다. 디깅 사이트를 뛰어넘어 다양한 음악을 구할 수 있는 보물창고이니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 디깅해보는것도 추천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