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DJ AZ] 2024년 말 안사고는 못 버틸 올인원 장비 끝판왕

[썸네일]XDJ-AZ

알파세타라는 이름을 달고 드디어 제대로 된 장비가 발매되었다. 그 이름도 XDJ AZ! 그동안 올인원 디제잉 장비 라인업 중에서도 XDJ XZ가 차지하던 포지션은 그야말로 올인원 장비 중에서는 끝판왕 급의 장비였다. 그도 그럴것이 XDJ XZ가 발매된 이후 수많은 중소규모 클럽에서 이 디제잉 장비를 심심찮게 만나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베드룸 디제이들이 집에서 사용하기에는 이만한 간지와 실용적인 기능을 가진 장비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파이오니어DJ에서 알파세타로 바뀐 후 그동안 발매되었던 디제잉 장비는 나에게 구미도 당기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해가 되지 않는 가격과 포지션으로 리뷰를 할 생각도 들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던 와중 발매된 XDJAZ는 마치 “우리 만들 때는 각 잡고 만들어요!”라고 말하는 것처럼 높은 완성도를 자랑한다. 다르게 말하자면 XDJ XZ에서 불완전했던 여러 부분들이 “마침내” 완성되어 나왔다. 유튜버 Crossfader가 그의 썸네일에서 말한 것처럼.

[ez-toc]

XDJ AZ의 제원

XDJ AZ의 제원과 구성은 이전에 발매되었던 XDJ XZ의 하드웨어 레이아웃과 CDJ 3000의 최신버전 REKORDBOX 소프트웨어 구성을 따라가고 있다. 그 외에는 크게 달라진 점은 없어 보인다.

XDJ AZ의 기본적인 제원은 아래와 같다.


사이즈 : 90cm(가로) 50cm(세로) 13cm(높이)

재생지원 포멧 : MP3 / AAC / WAV / AIFF / FLAC

소프트웨어 : REKORDBOX / SERATO

입력단자 : 2 RCA / 2MIC(XLR & [1/4]인치 TRS 잭)  / 2 USB PORT

출력단자 : 1 XLR / 1 RCA  / 1 BOOTH / 5.5, 3.5 헤드폰 잭 지원


사실 제원만 보면 XDJ XZ와 크게 달라진 것은 없어 보인다. 거의 같은 모양새와 지원하는 오디오 단자 또한 XDJ XZ와 동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비를 업그레이드 하고 싶다면 나는 ok!를 외칠 것 같은 것이 그만큼 기능적으로 많은 업그레이드를 한 완전체에 가깝기 때문이다.

왜 Crossfader는 “마침내”라고 말한걸까?

Crossfader : XDJ-AZ Reveiw

앞서 서두에 언급한 것 처럼 XDJAZ가 출시된 후 디제잉 장비 유튜버 Crossfader는 XDJ AZ의 리뷰 영상 썸네일에 “Finally!”라는 단어를 믹서 부분에 강조하여 써 두었다.

그도 그럴것이 분명 이전 모델이었던 XDJ  XZ에서는 그동안 많은 디제잉 장비 사용자, DJ들이 그토록 원하던 CDJ와 제일 가까운 레이아웃 (플래터 크기나 믹서 부분 등) 을 가진 마침내 등장한 올인원 디제잉 장비였지만, 분명 제한적인 기능을 가진 반쪽자리 4채널이었다.

XDJ XZ가 처음 발매 될 당시 4채널 올인원 플레이어라는 것을 정말 강하게 어필했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우리가 생각하던 하나의 장비 안에서 4채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 1,4번 채널에 따로 장비를 연결하면 그 장비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애드온”의 기능이었고 ,이 때문에 XDJXZ에서 4채널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CDJ나 턴테이블을 2대 더  달아 사용해야만 완벽하게 4채널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김새는 느낌과 약간의 배신감도 없지 않아 있었는데 2024년 말 XDJ-AZ가 새로 출시되면서 이전 모델에서 불완전했던 4채널 레이아웃을 마침내 하나의 디제잉 장비로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부분만으로도 기존에 디제잉 장비 구매를 염두에 둔 사람이라면 충분히 구매할만한 매력 포인트로 다가오게 된 것이다.

더욱 진보한 레이아웃과 부가기능

믹서 부분은 DJM-A7의 믹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BEAT FX가 물리버튼이 아니라  X-PAD로 변경이 되어 조금 더 다이나믹한 BEAT FX 연출이 가능하게 졌으며 한 장비 안에서 FX 채널을 여러개 할당할 수 있도록 다이얼이 아닌 물리버튼으로 변경한 점도 사소하지만 편의성을 개선한 점으로 보인다.

더불어 어쩌면 올인원 장비에서만 구현할 수도 있는 부분인데, 기존에 믹서에 있었던 부가적인 기능들은 물리버튼을 과감하게 삭제하고 모두 다 소프트웨어로 내장 통합시킨점은 올인원 장비로써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크로스페이더, 페이더 커브 등, 믹서 기단에서 사용하던 부가 기능들을 모두 믹서 세팅에서 깔끔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단순하게 설정을 나열한 것이 아닌 이미지를 통해 정확히 어떤 버튼에서 이 기능들이 변경되는지 XDJ AZ에서는 훨씬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 알파세타의 장비 라인업이 블루투스를 활용한 무선 디제잉이라는 걸 다시한번 상기시켜주는 것 처럼 블루투스를 통한 장비 연결까지 지원한다. 이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WAVE-EIGHT이나 HDJ-F10 과 같은 와이어리스 블루투스 오디오 장비까지 페어링이 가능해졌다.

이런 부분은 앞으로 알파세타가 추구하는 장비의 개발 방향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작은 부분까지는 당장은 실 사용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나, 이런 업그레이드가 이전 작인 XDJ XZ와 XDJAZ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큰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OPUS-QURD와의 차이?

현재 알파세타에서 발매한 또 다른 하이엔드 올인원 디제잉 장비인 OPUS-QURD와 비교를 또 안해볼 수 없다. 현재 기준으로 XDJXZ와 OPUS-QURD 두 가지 디제잉 장비가 공존하게 되는 그림인데, 두 장비의 포지셔닝이나 방향성은 매우 다른 듯 하다.

OPUS-QURD가 예전부터 이어지던 전통적인 레이아웃에서 벗어나 더 미래지향적이고 미관을 중시한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보여주고 있다면 XDJ XZ는 보수적인 레이아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도 사용중인 CDJ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따라가며 실제 사용시에 느껴지는 이질감을 최소화 했다. 그에 비해 OPUS-QURD는 4덱이나 부가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전과는 다른 시스템을 활용해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아직까지는 기존 레이아웃을 답습하는 XDJ계열이 좀 더 환영을 받고 있으며, OPUS-QURD모델은 실 구매평이나 후기를 찾아보기 매우 힘들 정도로 시장에 대한 반향이 적다.

하지만 두 모델 모두 가지고 있는 공통점은 역시나 정신나갈것 같은 비싼 가격.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매를 해야 한다면 과감하게 XDJ AZ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XDJ RX3] 현시대 TOP 1 올인원 디제잉 장비

[OMNIS DUO] 작지만 다 들어간 올인원 디제이 장비

디제이 USB 추천 가이드 BEST 5

[XDJ XZ] 중고 디제잉 장비로 꼭 구매해야 할 3가지 이유

Exit mobile version